[뉴스초점] 28일 만에 3천명대 확진…위중증은 1천명대 이어져<br /><br /><br />8,000명에 육박하던 코로나 신규 확진자가 3,865명을 기록했습니다만 위중증 환자의 증가와 오미크론 변이의 확산세 등 아직 안심하기엔 이르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와 함께 코로나 상황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김경우 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나오셨습니다.<br /><br />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먼저 일일 신규확진자 추이를 살펴보면, 어제는 주말 검사 감소 영향 등 이유로 4,000명대로 줄어들었고 오늘은 3,800명대가 집계됐습니다. 정부는 감소세로 접어들었다고 분석했는데 교수님 보시기엔 어떻습니까.<br /><br /> 유행 감소에도 위중증 환자는 줄지 않고 있는데요. 이유가 뭐라고 보십니까? 언제쯤 감소세로 돌아설까요?<br /><br /> 정부가 31일 이번주 금요일에 거리두기 연장여부를 발표합니다. 현 거리두기 조치 기한은 내년 1월 2일까지인데, 지금 추이를 봤을 때 어떤 결정을 할 거라고 보시는지요?<br /><br /> 오미크론 변이 확산세도 예의주시해야 할 것 같습니다. 오미크론이 등장한 이후 한 달 만에 전 세계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34% 넘게 급증했다는 통계가 나왔는데요. 방역당국은 국내 오미크론 n차 감염이 10차 연쇄 감염으로 확산된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. 우리도 외국처럼 대유행으로 번질 수도 있을까요?<br /><br /> 오미크론에 대한 여러 다른 정보들이 계속 나오고 있어서 더 헷갈리고 불안한 부분이 있는데요. 오미크론이 상대적으로 경미한 증상이었다고 해도 안심할 수준은 아닌 거잖아요?<br /><br /> 해외 연구 발표를 보면 오미크론이 코로나19가 감기 혹은 독감으로 전락하는 첫 단계일 수도 있다, 즉 펜데믹 종식 신호라는 내용도 보도되고 있는데 교수님 보시기엔 어떻습니까.<br /><br /> 증상이 아무리 경미하다고 해도 감기와 같은 증상은 아니잖아요. 백신 접종을 받은 사람들 중 특히 부스터샷 접종까지 완료한 사람들은 감염이 돼도 상대적으로 더욱 가벼운 증상이 나타난다고 하는데 어떤가요?<br /><br /> 아무래도 먹는 치료제 상용화 전까진 부스터샷이 최선일 것 같은데요. 정부가 미국 화이자가 개발한 먹는 코로나 치료제인 팍스로비드를 긴급 사용 승인했습니다. 현재 코로나 대유행 상황을 국면 전환시킬 수 있을 거라는 기대도 있는데 어떻게 보세요?<br /><br /> 일단 반가운 소식이긴 합니다만 모두가 처방을 받을 수 있는 건 아니죠?<br /><br /> 부작용 가능성은 없는 건지요?<br /><br /> 지금 다른 먹는 치료제로 머크사의 '몰누피라비르'는 아직 사용 승인 안 됐는데 추가 검토할 게 남았다는 입장입니다. 지금 발표된 건 일단 화이자와 머크사 포함해서 먹는 치료제 약 100만 명 분을 도입하겠다는 계획인데 이걸로 충분할까요?<br /><br /> 국산 먹는 코로나 치료제 개발도 이뤄지고 있죠. 언제쯤 출시할 수 있는 건가요?<br /><br />지금까지 김경우 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와 코로나 상황 짚어봤습니다.<br /><br />오늘 말씀 고맙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